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JJ 입니다. 오늘은 VSCode 마켓플레이스에서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는 Code Runner 확장 플러인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Visual Studio Code에서 Code Runner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코드를 쉽게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확장 프로그램입니다. 다음은 Code Runner의 주요 특징과 사용 방법입니다:

설치 및 기본 사용법

  1. VS Code의 확장 프로그램 마켓플레이스에서 "Code Runner"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13.
  2. 코드를 실행하려면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파일 오른쪽 상단의 실행 버튼 클릭
    • 코드 영역에서 우클릭 후 "Run Code" 선택
    • 단축키 Ctrl + Alt + N 사용 (Windows)

주요 기능

  • 다양한 언어 지원: C, C++, Java, JavaScript, Python, PHP 등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합니다.
  • 실행 결과 확인: 기본적으로 VS Code 하단의 OUTPUT 창에서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언어 선택: Ctrl + Alt + J를 눌러 현재 파일의 언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입력 활성화

기본 설정에서는 사용자 입력이 불가능합니다. 입력을 받으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1. VS Code 설정(File > Preferences > Settings)으로 이동합니다.
  2. "Run In Terminal" 옵션을 검색하여 체크합니다.
  3. 이후 코드 실행 시 터미널에서 실행되어 사용자 입력이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Code Runner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VS Code를 간단한 IDE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간편하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5~26일 예비인가 신청 관련, 현재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위해 금융위원회에 예비인가 신청을 준비 중인 컨소시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주요 특징

  • 한국신용데이터(KCD)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으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대상 특화 금융을 목표로 함.
  • 기존 은행권의 신용평가 방식을 보완하여 소상공인 및 개인사업자 맞춤형 대출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 대전광역시와 협력하여 금융 인프라를 대전 지역에 구축할 계획.

주요 참여 기업

  • 한국신용데이터(KCD): '캐시노트' 운영사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금융 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 및 대출 모델 개발.
  • NH농협은행: 대형 은행으로서의 신용과 자금 조달 역량 지원.
  • 우리은행 및 우리카드: 금융 서비스 확대 및 카드 결제 솔루션 제공.
  • 유진투자증권: 금융투자 서비스 제공 및 자산관리 역량 지원.
  • 메가존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반 금융 서비스 인프라 및 생성형 AI를 활용한 맞춤형 금융 솔루션 개발.
  • 아이티센: IT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지원.

2. 유뱅크(U-Bank) 컨소시엄

주요 특징

  • 스타트업 중심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으로, 노년층, 소상공인, 외국인 등 기존 금융권에서 소외된 계층을 위한 포용 금융을 목표로 함.
  • 기존 은행과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 새로운 금융시장 개척을 추진.
  • 기존 계획보다 예비인가 신청 시점을 하반기로 연기할 가능성이 있음.

주요 참여 기업

  • 렌딧: 중금리 대출 전문 기업으로, 신용평가 모델 및 대출 상품 제공.
  • 루닛: AI 의료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강 데이터 기반 금융 서비스 개발.
  • 자비스앤빌런즈: '삼쩜삼' 세금 환급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사업자의 세금 및 금융 데이터 분석 역량 보유.
  • 트래블월렛: 외화 환전 및 결제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금융 서비스 제공.
  • 현대해상화재보험: 보험 연계 금융 상품 개발 및 리스크 관리 지원.

예비인가 신청 포기 및 연기 기업

1. 더존비즈온

  • 기존에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 대상 인터넷전문은행을 준비했으나, 예비인가 신청을 하지 않기로 결정.
  • 금융업 진출보다는 자사 기업용 솔루션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 연계 전략으로 방향 전환.

2. 유뱅크(U-Bank) 컨소시엄 (연기 가능성)

  • 예비인가 신청 시점을 재검토 중이며, 하반기 신청 가능성 있음.

현재 남은 컨소시엄 정리

  1.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예비인가 신청 확정)
  2. 유뱅크 컨소시엄 (하반기 신청 검토)
  3. 더존비즈온 (예비인가 신청 포기)

현재로서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 유일하게 예정대로 예비인가를 신청할 계획이며, 유뱅크 컨소시엄은 신청 시점을 조율 중입니다.

 

참고로 현재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위해 예비인가 신청을 준비 중인 컨소시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소뱅크 컨소시엄

  • 주요 참여사: 구체적인 참여 기업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 특징: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특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컨소시엄입니다.

2. 포도뱅크 컨소시엄

  • 주요 참여사: 참여 기업에 대한 상세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 특징: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AMZ뱅크 컨소시엄

  • 주요 참여사: 참여 기업 명단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 특징: 디지털 금융 혁신을 선도하며, 다양한 고객층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이들 컨소시엄은 제4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준비 중이며, 각기 다른 전략과 서비스를 통해 금융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728x90
반응형

'Tech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에서 Code Runner 사용하기  (4) 2025.03.24
MSA vs Monolithic 아키텍처  (2) 2025.03.17
GTC 2025 시작  (4) 2025.03.17
합격 후 적응 실패? 컬처핏이 답이다!  (0) 2025.03.17
스타게이트, AI 미래가 궁금하다  (4) 2025.01.23
728x90
반응형

MSA (Microservices Architecture,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여러 개의 작은 독립적인 서비스로 나누어 개발하고 운영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 MSA의 핵심 개념

  1. 서비스 단위 분리: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독립적인 서비스로 구성
  2. 독립적인 배포 및 운영: 각 서비스는 개별적으로 개발, 배포, 확장 가능
  3. API 기반 통신: REST, gRPC, 메시지 큐(Kafka, RabbitMQ) 등을 사용해 서비스 간 통신
  4. 각 서비스별 데이터 관리: 서비스별 개별 DB 사용 (Database per service)
  5. 자동화된 운영 및 배포: CI/CD를 활용한 지속적 배포 및 운영 자동화

🔹 MSA의 장점

확장성 (Scalability): 특정 서비스만 개별적으로 확장 가능
유지보수 용이성: 각 서비스가 독립적이므로 부분 수정이 전체 시스템에 영향 없음
개발 생산성 증가: 여러 팀이 병렬적으로 개발 가능
탄력적인 기술 선택: 서비스마다 다른 기술 스택(Java, Python, Go 등) 사용 가능

🔹 MSA의 단점

복잡한 운영 관리: 서비스가 많아지면 모니터링과 장애 대응이 어려움
네트워크 비용 증가: 서비스 간 API 호출이 많아지면서 성능 저하 가능
데이터 일관성 유지 어려움: 분산된 데이터 저장으로 인해 트랜잭션 관리가 복잡

🔹 MSA vs Monolithic (모놀리식) 아키텍처 비교

비교 항목 MSA Monolithic

구조 여러 개의 독립적인 서비스 하나의 통합된 애플리케이션
배포 방식 서비스별 독립적 배포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한 번에 배포
개발 속도 팀별로 병렬 개발 가능 단일 코드베이스에서 개발
확장성 특정 서비스만 확장 가능 전체 시스템을 확장해야 함
운영 복잡성 높음 (서비스 간 통신, 모니터링 필요) 상대적으로 단순

🔹 MSA를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

  • Netflix: MSA를 활용해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 운영
  • Amazon: 주문, 결제, 배송 등을 독립적인 서비스로 운영
  • Uber: 지역별, 기능별 서비스 분리하여 확장성 확보

📌 결론:
MSA는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나지만, 운영 복잡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적절한 모니터링, DevOps, 분산 데이터 관리 전략이 필수입니다.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GTC 2025NVIDIA가 주최하는 연례 기술 컨퍼런스로, 2025년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San Jose)에서 개최됩니다. (GTC - GPU Technology Conference)

주요 일정 및 내용:

  • 젠슨 황(Jensen Huang) CEO의 기조연설: 3월 19일 수요일 오전 2시(한국 시간)
  • 세션 및 전시: 1000개 이상의 세션과 400개 이상의 전시가 예정되어 있으며, AI, 로봇, 컴퓨팅,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 기술을 소개합니다.

주요 발표 예상 내용:

  • 차세대 GPU 아키텍처: 현재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의 후속 모델인 '루빈(Rubin)' GPU의 미리보기 발표가 예상됩니다. 이 GPU는 2026년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 GB300 AI 칩 공개: 새로운 AI 칩인 GB300의 발표가 예상되며, 이는 2025년 5월부터 출하될 것으로 보입니다. 
  • 양자 컴퓨팅: 3월 20일 목요일은 '양자의 날'로 지정되어, 차세대 양자 컴퓨팅 기술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참여 기업: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여 최신 고대역폭 메모리(HBM) 제품과 기업용 SSD 등 AI 시대에 필수적인 메모리 기술을 전시할 예정입니다.

참석 방법:

GTC 2025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되며, 약 25,000명의 현장 참석자와 300,000명의 온라인 참석자가 예상됩니다.

자세한 정보와 등록은 NVIDIA GTC 2025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GTC 2025는 AI와 가속 컴퓨팅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의 혁신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컬처핏(Culture Fit)이란?

컬처핏(Culture Fit)이란 기업의 조직 문화와 개인의 가치관, 업무 스타일, 행동 방식 등이 잘 맞는지를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업무 능력이나 기술적 역량을 넘어, 조직 내부에서 원활한 협업과 긍정적인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요소다.


1. 컬처핏이 중요한 이유

1) 조직의 생산성 및 성과 향상

컬처핏이 잘 맞는 직원들은 조직 내에서 자연스럽게 동기부여되며, 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반면 조직 문화와 맞지 않는 직원은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2) 직원 만족도 및 유지율 증가

컬처핏이 높은 직원들은 조직 내에서 만족감을 느끼며 장기적으로 근속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조직 문화와 맞지 않는 직원들은 이직률이 높아지고, 이는 기업의 인적·재정적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3)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및 팀워크 형성

같은 가치관을 공유하는 직원들끼리는 신뢰와 협력 관계를 쉽게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조직 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업무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한다.


2. 컬처핏을 평가하는 방법

1) 채용 단계에서 컬처핏 평가

  • 면접 질문 활용: "우리 조직에서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의 특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지원자의 가치관을 파악할 수 있다.
  • 사전 과제 및 테스트: 기업의 실무 스타일과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여 지원자가 얼마나 적응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 조직 문화 설명: 채용 과정에서 회사의 핵심 가치와 업무 방식을 명확히 설명하고, 지원자가 이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도록 유도한다.

2) 기존 직원과의 상호작용 관찰

  • 신입 직원이 기존 팀원들과 얼마나 자연스럽게 어울리는지 살펴보는 것도 컬처핏을 평가하는 좋은 방법이다.

3) 조직 문화와의 일치 여부 검토

  • 조직의 가치, 미션, 비전과 지원자의 행동 및 태도가 일치하는지를 평가한다.

3. 컬처핏과 다양성의 균형

컬처핏을 강조하다 보면 조직 내부에서 비슷한 배경과 생각을 가진 사람들만 채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다양성을 저해하고, 혁신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컬처핏을 고려하되,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가진 인재를 수용하는 문화도 함께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4. 결론

컬처핏은 단순한 ‘조직 적응력’을 넘어서,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성공을 위한 중요한 요소다. 기업은 채용 과정에서 컬처핏을 고려해야 하며, 동시에 조직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유지하는 균형 감각을 가져야 한다. 결국, 개개인의 가치와 조직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환경이 최고의 성과를 만들어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5/0005085702?date=20250123

 

트럼프 '700조 AI 프로젝트' 가동…빅테크 기업 역대급 투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년에 걸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5000억달러(약 720조원)를 투자한다고 공표했다. 세금 한 푼 들이지 않고 투자금 대부분을 해외에서 끌어와 AI 인프라 합작법인

n.news.naver.com

트럼프 2기가 시작되면서 굵직한 사업들이 드디어 베일을 벗었다. AI관련해서도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합작사 스타게이트가 설립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년에 걸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5000억달러(약 720조원)를 투자한다고 공표했다. 사실 이는 중국의 AI 굴기에 대한 대항마기도 하고 정치적인 포석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중국은 정부 주도로 바이두, 텐센트, 알리바바 등을 동원해 AI데이터센터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두만 해도 엔비디아의 AI칩에 대항할 ‘쿤룬’이라는 AI 반도체를 개발해 데이터센터 성능을 높이고 있다. 텐센트는 훈위안(Hunyuan) AI와 같은 초대형 모델을 훈련시키는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고 있다.

이렇게 시작하는 스타게이트 진정으로 귀추가 주목되며 재미난 일들이 마구마구 생기는게 즐겁다. 이 시대에 태어난게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