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20000015

 

페덱스, 실적 및 가이던스 실망에 시간 외서 9% 반락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글로벌 특송 업체 페덱스가 실망스러운 실적 공개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9% 넘게 반락했다.19일(현지 시간) 페덱스는 회계연도 1분기 조정 주당순이익이 3.6

newspim.com

지금은 실적 악화로 주가가 많이 떨어졌지만 기존에는 비효율적인 포인트 투 포인트 배송방식을 사용했었는데, 페덱스가 허브 앤 스포크 방식으로 전략을 바꾸면서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거대 배송 제국이 되었다고 한다. 음, 마치 아마존 같은 기업이었다고나 할까? 그럼 허브 앤 스포크 전략이 무엇인지 아래와 같이 알아보았다.

 

허브 앤 스포크(Hub and Spoke) 전략은 물류, 항공, 네트워크 등 다양한 산업에서 효율적인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 디자인 개념이다. 이 전략에서는 중앙 허브(hub)와 여러 개의 스포크(spoke)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다.

- 핵심 개념:
  · 허브(hub):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하는 핵심 노드로, 모든 트래픽이 이곳을 통해 집중되고 분산된다. 예를 들어, 항공사의 경우 주요 공항이 허브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 스포크(spoke): 허브와 연결된 외곽 지점들로, 각 스포크는 허브를 통해 다른 스포크로 연결된다.


- 예시:

1) 항공 산업: 항공사들은 여러 도시로의 직항 노선을 운영하기보다는 특정 대형 공항(허브)을 중심으로 운영한다. 각 도시(스포크)에서 허브로 비행한 후, 다시 허브에서 다른 목적지로 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항공사는 노선 수를 줄이고 운항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2) 물류 산업: 대형 물류 창고를 허브로 설정하고, 여러 지역의 배송지는 스포크로 두어 물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물류의 집약적 처리 및 효율적 배송이 가능하다.

- 장점:
  · 비용 절감: 허브를 중심으로 모든 스포크가 연결되기 때문에 자원 배분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 규모의 경제: 허브를 통해 집중된 트래픽을 처리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
- 단점:
  · 허브 의존성: 허브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이 갈 수 있다.
  · 복잡성 증가: 허브를 중심으로 한 집중적 운영으로 인해 운영의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